황량한 사막이었습니다.
매서운 모래폭풍이 부는 곳이었습니다.찾아오는 사람 한 명도 볼 수 없는 곳이었습니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라고 했습니다.그곳에 살고 있던 가난한 청년에게 시집을 온 여자는
통곡을 하다가 1주일 만에 한 마디를 꺼내게 됩니다.“여기 꽃을 심으면 안 될까요?”
그 한 마디가 시작이었습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한 사막에서
할 수 있는 것을 생각했습니다.나무가 살 수 있으면
채소도 살 수 있고,
채소도 살 수 있으면
사람도 살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그녀는 매일 나무를 심었습니다.
그동안 꿈 없이 현실에 순응하며 살던 남편도
그녀와 함께 모래바람과 싸우며 나무를 심었습니다.한 그루 한 그루 20년간 나무를 심었습니다.
그 한 그루들이 모여 숲이 되었습니다.중국 마오우쑤(毛鳥素)사막을 숲으로 만든
인위쩐(殷玉進)의 이야기입니다.그녀는 그 기적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사막을 피해 돌아가서는
숲으로 갈 수 없었습니다.
사막에 나무를 심었더니
그것이 숲으로 가는 길이 됐지요.”‘할 수 없는 것’을 찾고 있다면
할 수 없는 걸림돌만 쌓입니다.‘할 수 있는 것’을 찾고 있다면
할 수 있는 디딤돌이 놓입니다.이미애 《사막에 숲이 있다》 중에서
시냇물도 걸림돌이 많아야 노래를 합니다.
걸림돌 없이 평탄한 시내를 흐르는 물은
노래하지 않습니다.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삶의 여정에 걸림돌과 장벽이 없다면
이야깃거리가 없어집니다.
‘역경’을 뒤집으면 ‘경력’이 됩니다.
걸림돌에 걸려 넘어졌음에도
디딤돌로 바꿔 다시 일어선 사람만이
자신만의 스토리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 이야기가 많은 사람이
자기 삶을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자기 이야기가 없는 사람은
언제나 남의 이야기를 듣고 말할 뿐입니다.
오늘도 걸림돌을 디딤돌 삼아 넘어서는
자신만의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멋진 하루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