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최고의 성과를 내는 최선의 방법

Q 정확히 목적에 맞는 노력을 기울이고,
실수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연습이
그토록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A 좋은 회로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회로에 신호를 발사하고
어떤 실수를 했는지 주목한 다음
반복해서 신호를 발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노력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생물학적인 필수 요건이다.

대니얼 코일 <탤런트 코드> 중에서


완벽한 결과를 내고 싶다면
익숙하거나 잘 하는 것보다
부족하거나 잘 못하는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 몸에는 신경세포 뉴런을
감싸고 있는 미엘린이 있고
내가 잘하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부분,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고칠 때
미엘린 층은 두꺼워진다.

일반적으로 재능있는 이들에게서
미엘린이 두꺼운 것이 확인된다.

미국국립보건원 더글러스 필즈 박사가
한국 여자 골퍼들의 우수한 성적을 보고
미엘린 층이 다른 국적의 선수들보다
미엘린 층이 두껍다고 예측했다.

매번 잘못된 자세를 집중적으로 고치고
이를 반복적 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스윙이
가능해질 때까지 연습하는 것이다.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 중 하나가
바로 오답 노트를 꾸준히 작성하는 것인데
이 또한 미엘린 층을 두껍게 하는 것이다.

반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모르는 문제나 틀린 문제를 그냥 넘기며
쉽거나 익숙한 문제만 풀고 안주한다.
미엘린 층이 두꺼워질 여지는 없다.

잘하고 익숙한 것만 해서는
절대 실력이 향상될 수 없다.

1만 시간의 법칙이 있다고 해서
시간만 채운다고 결과를 얻지는 못한다.

미식축구 최고의 감독으로 불렸던
빈스 롬바르디는 이렇게 말했다.

연습만 하면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다.
완벽한 연습으로만 완벽해질 수 있다.


1천억 원을 넘는 몸값의 손흥민 선수는
어린 시절 하루 1,000개가 넘는 슈팅에서
보통 잘 차는 발만 연습하는 다른 선수와는 달리
양쪽 발로 모두 슈팅 연습을 했고
왼발 오른발을 가리지 않는
세계적인 양발 공격수가 되었다.

8번의 PGA 우승에 세계 랭킹 5위
최경주 골프 선수는
연습 샷을 70억 번을 했고
그중에 잘 안 되었던 벙커샷은
37억 번을 했다고 한다.

도전하고 실패하고 분석하고
또 도전하며 반복하는 완벽한 연습으로
우리는 완벽해질 수 있다.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과정에서
미엘린 층이 두꺼워지고
실전에 승리할 실력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완벽한 연습을 위해 더 지독해져야겠다.

“누구나 최고의 성과를 내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1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